본문 바로가기

브라보 연구실 (Research)16

해외저널 (SSCI) 논문투고 과정(3): 수정후 재제출 (Revise & Resubmit) 1편에서는 해외저널에 논문 투고 과정2023.10.22 - [브라보 연구실 (Research)] - 해외저널 (SSCI) 논문투고 과정 (1) 해외저널 (SSCI) 논문투고 과정 - 첫번째 이야기오늘은 해외 저널에 논문 제출을 목표로 한국에서 불철주야 열심히 글을 쓰고 있을 분들을 위해, 제가 최근에 실제 논문을 제출했던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드리려고 합니다. 논문을 쓰는 과정은wiseresearchlife.tistory.com 2편에서는 리젝을 받은 후 다른 논문을 찾아 다시 투고하기까지의 과정을 소개해드렸는데요. 2024.01.20 - [브라보 연구실 (Research)] - 해외저널 (SSCI) 논문투고 과정(2): 리젝 레터?! 해외저널 (SSCI) 논문투고 과정(2): 리젝 레터?!여러분에게 관심.. 2024. 5. 26.
[해외저널 투고시 필요한 파일] Title Page/Author Affiliation/Manuscript without author detail 논문 한편을 쓰고 이 논문이 세상의 빛을 발하기까지는 인고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비록 논문 작업이 끝났다 할지라도 논문을 저널에 투고하는 과정도 만만치 않은대요, 그래서 오늘은 논문 주제와 관련된 저널을 찾고, 저널에서 요구하는 문서들을 형식에 맞게 정리하여 해외저널 투고 과정을 원활하게 진행하실 수 있도록 제가 사용하는 유용한 사이트 및 파일 샘플들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주제에 맞는 해외저널 찾기: "세상은 넓고 저널은 많다." 여러분이 정말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 쓴 논문이 세상에 빛을 발하기 위해서는 내 논문의 가치를 알아봐 줄 수 있는 저널을 먼저 찾아야 합니다. 내 논문주제와 맞지 않는 저널에 논문을 투고하여 '데스크리젝' 즉, 논문 심사가 넘어가기 전 단계에서 거절을 받는 경.. 2024. 4. 15.
[KCI 등재지] 보건사회연구 투고절차 안녕하세요. 김언니입니다. 1월말에 보건사회연구라는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했습니다. 사회과학분야 국내학회지 중에서는 꽤 저명한 학술지라 소개하고자 합니다. ■ 보건사회연구는 어떤 학술지인가요? KCI 등재지인 보건사회연구(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발행하는 학술지로, 보건의료, 사회보장, 사회정책, 저출산·고령화, 보건복지 통계 분야 등 보건복지분야의 제반 이슈들을 학술적으로 분석탐구한 논문을 출판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투고하면서 알게된 사실은 보건사회연구가 KCI 영향력지수가 사회과학일반 분야에서는 1위,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26위이며, KCI 전체 학술지(2,757좀) 중 31위로 국내에서는 인용 수준이 최상위 학술지라는 점입니다. ■ 보건사회연.. 2024. 2. 6.
해외저널 (SSCI) 논문투고 과정(2): 리젝 레터?! 여러분에게 관심을 많이 받는 포스팅 중의 하나인 해외저널 (SSCI) 눈몬투고 과정 스토리 2탄입니다!!! 2023.10.22 - [브라보 연구실 (Research)] - 해외저널 (SSCI) 논문투고 과정 - 첫번째 이야기 해외저널 (SSCI) 논문투고 과정 - 첫번째 이야기오늘은 해외 저널에 논문 제출을 목표로 한국에서 불철주야 열심히 글을 쓰고 있을 분들을 위해, 제가 최근에 실제 논문을 제출했던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드리려고 합니다. 논문을 쓰는 과정은wiseresearchlife.tistory.com   자~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에디터로부터 드디어 이메일이 왔네요.간단히 번역하면 "연구는 충분한 가능성이 있지만, 우리 저널에 퍼블리쉬하기 위해서는 갈 길이 멀.. 2024. 1. 20.
해외저널 투고부터 게재까지 - 데스트 리젝, 기간, 공동연구 새해에도 불철주야 연구에 매진 중이신 우리 연구인생분들 계획하신 연구들 꼭 성취하는 한 해 되시길 바랍니다. 논문의 리젝 향연 속 고목나무에 꽃이 피듯 작년에 제가 처음으로 공동저자로 참여하여 해외저널에 게재된 논문을 통해 1) 데스트 리젝 (Dest Reject), 2) 해외저널 투고부터 게재 기간, 3) 공동연구 (Collaborative Research)에 대해 이야기를 드리고자 합니다. 1. 데스트 리젝 (Desk Reject) 이 논문의 경우 두 저널에서 데스트 리젝을 먼저 받게 됩니다. 데스트 리젝 (Desk Reject)은 편집장 에디터(Editor-in-chief)가 리뷰어들(Reviewers)에게 논문 심사를 넘기기 전 단계에서 거절이 되는 경우를 말하며,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1.. 2024. 1. 10.
연구/논문 아이디어 찾기 1. 주변 관찰하기 일상 속에서 영감을 찾아보세요. 예를 들어, 저는 두 아이를 키우며 아이들이 게임과 유튜브에 몰두하는 모습을 보고, 미디어가 아동과 청소년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갖게 되었어요. 2. 문제 해결에 집중하기 사회, 과학, 기술 등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를 찾아보세요. 예를 들어, 코로나 팬데믹이 사람들의 생활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연구하는 것이 좋은 예가 될 수 있습니다. 3. 다양한 분야 탐색하기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국한되지 말고, 다른 분야의 지식을 탐색해보세요. 때로는 해결책이 다른 분야에서 영감을 주기도 합니다. 4. 아이디어 브레인스토밍 친구나 동료들과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토론해보세요. 다양한 관점과 생각은 새로운 아이디어의 씨앗이 될 수 있습니다. 5. 최신 연구 동향 숙.. 2024.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