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저널투고3

해외저널 (SSCI) 논문투고 과정(2): 리젝 레터?! 여러분에게 관심을 많이 받는 포스팅 중의 하나인 해외저널 (SSCI) 눈몬투고 과정 스토리 2탄입니다!!! 2023.10.22 - [브라보 연구실 (Research)] - 해외저널 (SSCI) 논문투고 과정 - 첫번째 이야기 해외저널 (SSCI) 논문투고 과정 - 첫번째 이야기오늘은 해외 저널에 논문 제출을 목표로 한국에서 불철주야 열심히 글을 쓰고 있을 분들을 위해, 제가 최근에 실제 논문을 제출했던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드리려고 합니다. 논문을 쓰는 과정은wiseresearchlife.tistory.com   자~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에디터로부터 드디어 이메일이 왔네요.간단히 번역하면 "연구는 충분한 가능성이 있지만, 우리 저널에 퍼블리쉬하기 위해서는 갈 길이 멀.. 2024. 1. 20.
해외저널 투고부터 게재까지 - 데스트 리젝, 기간, 공동연구 새해에도 불철주야 연구에 매진 중이신 우리 연구인생분들 계획하신 연구들 꼭 성취하는 한 해 되시길 바랍니다. 논문의 리젝 향연 속 고목나무에 꽃이 피듯 작년에 제가 처음으로 공동저자로 참여하여 해외저널에 게재된 논문을 통해 1) 데스트 리젝 (Dest Reject), 2) 해외저널 투고부터 게재 기간, 3) 공동연구 (Collaborative Research)에 대해 이야기를 드리고자 합니다. 1. 데스트 리젝 (Desk Reject) 이 논문의 경우 두 저널에서 데스트 리젝을 먼저 받게 됩니다. 데스트 리젝 (Desk Reject)은 편집장 에디터(Editor-in-chief)가 리뷰어들(Reviewers)에게 논문 심사를 넘기기 전 단계에서 거절이 되는 경우를 말하며,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1.. 2024. 1. 10.
해외저널 (SSCI) 논문투고 과정 (1) 오늘은 해외 저널에 논문 제출을 목표로 한국에서 불철주야 열심히 글을 쓰고 있을 분들을 위해, 제가 최근에 실제 논문을 제출했던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드리려고 합니다. 논문을 쓰는 과정은 누구에게도 쉽지 않은 과정입니다. 제가 앞서 영어 초록 (Abstract) 쓰는 법 (이전글 참조:2023.10.11 - [브라보 연구실 (Research)] - 영문 초록 (Abstract) 작성법)에서 예시로 소개했던 제 실제 논문은 무려 저에게 9번의 리젝 (reject)을 안겨준 논문이었습니다. 그러나 저는 포기하지 않았고, 결국 제 논문은 High Ranked 된 저널인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Impact factor = 5.45, 2020)에 10번의 시도 끝에 게재가 되.. 2023. 10.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