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브라보 연구실 (Research)

논문 서론 작성 방법: 연구의 첫 단계를 완벽하게!

by Kim, PhD 2023. 12. 3.
반응형
 
 

안녕하세요, 김언니입니다. 지난 주에 논문 투고 마감일이 다가오면서, 논문 작성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습니다. 개인적으로 논문 작성 시 항상 어려운 부분은 서론 작성입니다.  

 

서론은 논문을 처음 접하는 독자에게 연구 주제에 대한 첫인상을 주고,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죠. 효과적인 서론은 연구의 배경, 중요성, 방향성을 제공합니다. 이를 위해 저는 어떻게 독자의 관심을 끌 수 있는지, 어떤 문장으로 논문을 시작할지 고민하며, 관련 자료들을 찾아보곤 합니다. 

 

논문 초보자들에게 서론 작성은 큰 도전이 될 수 있습니다. 이에, 효과적인 서론 작성을 위한 몇 가지 팁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저는 일반적으로 서론을 6~8문단으로 구성하되, 최대 10문단을 넘지 않도록 합니다. 이 길이는 독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면서도 연구의 핵심에 집중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1. 도입 (1~2문단)

도입 문단은 독자에게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제시하며, 주제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습니다.

예를 들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문제에 대한 논문을 작성한다면, 첫 문단에서 중독의 심각성을 연구 결과나 통계 자료로 제시하여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주제의 중요성을 강조하면 되겠지요. 

 

2. 기존문헌 검토 (3-5문단)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며, 내 연구가 기존 연구와 어떻게 다른지, 새로운 관점을 어떻게 제공하는지 설명합니다.

이를 통해 나의 연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3. 마무리 (1-2문단):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가설을 명확히 제시하고, 논문이 기여하는 바를 간략히 기술합니다. 이는 독자가 논문의 나머지 부분을 읽는 데 기대감을 갖도록 합니다.

 
 
마지막으로 효과적인 서론 작성을 위한 추가 팁(tip)입니다. 

  • 독자를 중심으로 작성: 독자들이 연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주제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할 수 있도록 작성합니다. 
  • 연구의 실용성 강조: 연구가 실제 세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구 결과가 어떻게 실생활에 적용될 수 있는지, 사회적, 과학적 측면에서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면 독자의 관심을 더욱 끌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분야 및 주제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밝힙니다.)
  • 명확하고 간결한 문장 사용: 명확하고 간결한 문장을 사용하여, 주요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독자가 중요한 내용을 쉽게 이해합니다. 
  • 근거 자료 제시: 학술 논문은 이론적 근거와 선행 연구의 충분한 검토를 기반으로 해야 합니다. 내 연구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어떻게 도출되었는지를 명확히 밝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고, 학문적 가치를 부각시킬 수 있습니다.

 
서론 작성방법은 분야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참고하여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