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0

[북리뷰] 더 시스템 (The System) - 거의 모든 일에 실패하던 자가 결국 큰 성공을 이루어낸 방법 1. 제목: 더 시스템 (The System) 2. 저자: 스콧 애덤스 (Scott Adams) - 딜버트 만화가이자 베스트셀러 작가. 평범한 회사원으로 16년을 기술직 근로자로 일하다 전업 만화가로 전향한 후, 그의 여러 실패담을 바탕으로 쓴 성공 공식 3. 책과 이어진 내 삶 속 이야기:앞서 리뷰를 했던 "부의 추월차선" 책 (링크참조: 2023.12.20 - [브라보 도서관 (Book Review)] - [북리뷰] 부의 추월차선 (The Millionaire Fastlane) - 빠르다가 쉽다는 얘기는 아닙니다!)에 이집트 우화 한편이 소개됐다. 이집트 파라오 두 청년 추마와 아주르는 피라미드 건설을 성공시키면 왕자의 지위를 주겠다는 약속을 받는다. 그리고 둘은 각자의 방식으로 피라미드 만들기에 돌.. 2024. 1. 18.
마음이 불안한 당신에게 - 불안을 대하는 자세 공부에 집중이 되지 않고 마음이 늘 불안한가요? 불안은 나를 지키는 수단이자 생존 기능입니다. 불안을 적절한 수준으로 낮추어 잘 다룰 수 있다면 미래에 위협이 되는 것들을 피하도록 미리 계획하고 집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달말에 논문 발표가 예정되어 있는데, 갑작스럽게 노트북이 고장났고, 부모님이 편찮으시다는 소식을 들었으며, 운동을 하다가 다리까지 다쳤다고 해볼까요? 당장 발생한 일들은 큰 스트레스를 야기하며, 이로 인해 이달말에 있을 논문 발표 준비를 망쳐버릴까봐 매우 불안해집니다. 그럴 때 내 불안을 먼저 인지하고, 논문 발표 준비를 미루는 대신 3주간 매일 1-2시간씩 준비하는 걸로 계획을 바꾸어 집중해보면 어떨까요? "브라보 리서치라이프가 여러분을 응원합니다." 2024. 1. 17.
완벽을 추구하여 시작이 두려운 당신에게 공부를 하는 분들 중에는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 분들 많습니다. 매사 지나치게 완벽주의를 추구하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요? ✅ 완벽을 추구할 때 생기는 문제점 1️⃣ 타인의 시선을 의식해 자신을 돌보지 못한다. 완벽주의 성향의 사람들은 타인이 보는 나는 늘 완벽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때로는 내가 보는 나도 완벽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지나치게 신경쓰느라 자신을 잘 돌보지 못합니다. 2️⃣ 예상치 못한 일이 두려워 상황 자체를 회피하려한다. 완벽주의자는 예상치 못한 상황에 엄청 당황합니다. 잘하려고 하는데 잘 못할까봐 상황 자체를 피하기도 합니다. 3️⃣ 잘하는 것보다 부족한 점을 메꾸려고 한다. 이럴 경우 대인관계를 넓히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내가 미숙한 모습을 보이게 됐을 때 이 사람이 나를 어떻게 생각.. 2024. 1. 17.
미국 교수 직급이란? (Academic Ranks in the U.S.) 미국 교수직에도 직급이 있다고? (Academic Ranks in the U.S.)  교수와 관련된 타이틀에 서로 다른 이름이 워낙 많다보니 헛갈리시는 분들이 많을 걸로 생각됩니다. 미국 대학에서 일하는 저조차 잡포스팅 같은 것들을 보면 타이틀이 학교마다 달라서 어떤 의미인지 찾아보는 경우가 종종 있으니 말입니다. 그런 분들을 위해 위키피디아 (Wikipedia) 자료와 제 경험을 바탕으로 간단히 정리해 보았습니다.(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Academic_ranks_in_the_United_States ) Academic ranks in the United States - Wikipedia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Academ.. 2024. 1. 17.
해외저널 투고부터 게재까지 - 데스트 리젝, 기간, 공동연구 새해에도 불철주야 연구에 매진 중이신 우리 연구인생분들 계획하신 연구들 꼭 성취하는 한 해 되시길 바랍니다. 논문의 리젝 향연 속 고목나무에 꽃이 피듯 작년에 제가 처음으로 공동저자로 참여하여 해외저널에 게재된 논문을 통해 1) 데스트 리젝 (Dest Reject), 2) 해외저널 투고부터 게재 기간, 3) 공동연구 (Collaborative Research)에 대해 이야기를 드리고자 합니다. 1. 데스트 리젝 (Desk Reject) 이 논문의 경우 두 저널에서 데스트 리젝을 먼저 받게 됩니다. 데스트 리젝 (Desk Reject)은 편집장 에디터(Editor-in-chief)가 리뷰어들(Reviewers)에게 논문 심사를 넘기기 전 단계에서 거절이 되는 경우를 말하며,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1.. 2024. 1. 10.
연구/논문 아이디어 찾기 1. 주변 관찰하기 일상 속에서 영감을 찾아보세요. 예를 들어, 저는 두 아이를 키우며 아이들이 게임과 유튜브에 몰두하는 모습을 보고, 미디어가 아동과 청소년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갖게 되었어요. 2. 문제 해결에 집중하기 사회, 과학, 기술 등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를 찾아보세요. 예를 들어, 코로나 팬데믹이 사람들의 생활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연구하는 것이 좋은 예가 될 수 있습니다. 3. 다양한 분야 탐색하기 자신의 전문 분야에만 국한되지 말고, 다른 분야의 지식을 탐색해보세요. 때로는 해결책이 다른 분야에서 영감을 주기도 합니다. 4. 아이디어 브레인스토밍 친구나 동료들과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토론해보세요. 다양한 관점과 생각은 새로운 아이디어의 씨앗이 될 수 있습니다. 5. 최신 연구 동향 숙.. 2024. 1. 2.
반응형